top of page

부모의 셀프 부양, 청년의 스펙이 되다

  • 연다율
  • 2023년 12월 12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3년 12월 12일

글/그래픽/영상 연다율 실습기자



부모 노후 준비가 안된 사람과의 연애” 제목의 글이 올해 초 직장인 커뮤니티(블라인드 Blind)에 올라와 갑론을박을 일고 있다. 부모 노후 준비가 충분하지 않다면 결혼을 하지 말라는 조언부터, 부모의 노후를 돕는 것은 자녀의 책임이라는 주장까지 2030자녀 세대의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부모보다 가난한 자녀세대 결혼도 포기했는데…

 연로한 부모를 의무로 부양하던 시대는 갔다. 2022년 한국복지패널 조사에 따르면, 부모 부양 책임이 자식에게 있다는 인식은 2007년(24.3)에 비해 2022년(24.3%) 약 25% 포인트 감소했다. 저소득 가구와 일반가구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응답자의 절반 안팎이 부모 부양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했다.

 부모 부양은 고사하고 결혼도 포기했다는 자녀들. 현재 대한민국 청년들은 부모보다 가난한 세대라고 불릴 만큼,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 청년 취업률은 OECD 37개의 나라 중 31번째로 대학 졸업자 수에 비해 취업하는 청년 수가 매우 낮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에 노후 문제까지 겹치면서 결혼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등장했다. ‘나 먹고 살기도 힘든데 부모 노후는 무슨 결혼도 못 한다',’부모 수저 따라서 결혼도 못 하는 세상' 등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했다.

 셀프로 생활비 벌어 나선 부모들

 세대 간의 부양 책임 논쟁 속에서, 부모 세대의 셀프 부양이 화두가 되고 있다. 셀프 부양이란, 말 그대로 부모 스스로 노후를 책임지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스스로 노후생활비를 버는 비율이 늘고 있다. 2023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 노인 가정의 76%가 노후를 위한 비용을 스스로 마련하고 있었다. 이는 2013년 대비 약 13%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사회가 요구하는 셀프부양 기준은 어느 정도일까.

셀프 부양, 30년 버티는 데 10억

 국민연금연구원(2019)에 따르면 우리나라 50대 이상 부부 기준 매달 적정 노후 생활비는 평균 277만 원이 필요하다. 그대로 노후 생활비를 계산하면, 은퇴 후 30년 동안 약 9억 9720만 원 정도이다. 은퇴전까지 10억을 마련한 부모가 있어야, 자녀가 맘 편히 결혼할 수 있는 셈이다. 실제로 부모의 노후 준비 기준에 대해 자녀 세대에게 물었을 때, 20대 대학생 김 모 씨는 부모가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을 정도의 재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20대 대학생 전 모 씨는 자녀 결혼자금과 노후 병원비를 스스로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셀프 부양 돕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

 만만치 않은 셀프부양 금액에 부모, 자녀 모두 골머리를 앓고 있다. 2017년 트렌드 모니터 조사 결과, 노후에 대해 불안감을 호소하는 19-59세 비율은 과반을 넘었다(80.3%). 이 중 71.3%는 노후준비를 일찍 시작한다 해도 안정된 노후를 보장받긴 어렵다고 답했다.

 매년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사람은 늘고 있지만 이에 비해 노후 준비가 안정적으로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노후 준비가 ‘잘 되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노후 준비를 하는 가구 중 38.2%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는 준비할 능력 없음(38.0%)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개인 차원의 노후 준비가 여전히 어려운 상황임을 시사한다.

 국민연금공단 송지령 노후준비 전문강사는 개인의 안정된 노후 준비를 위해 노후설계가 필요하며, 연금을 충분히 마련하고 현금 흐름을 다양하게 분산할 것을 강조했다. 노후에 갑작스런 자금이 필요할 경우 빠르게 대비할 수 있도록 눈에 보이는 현금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송 강사는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앞서 국가 전체적인 노후준비를 위해 ‘공적 연금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2023 사회조사에서 국민 노후를 위해 사회가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노후 소득지원’(36.9%)이 꼽혔다. 이는 국민들이 노후를 위한 개인의 노력에 한계를 느끼고 있으며, 사회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Comments


©Upcom;ng 2023

bottom of page